김장쓰레기, 배추쓰레기 어떻게 버려야 할까요?

김장철, 쓰레기 어떻게 버려야 할까?
11월과 12월, 김장철이 되면 전국 각 가정에서는 배추, 무, 양념 등 각종 재료를 대량으로 준비합니다. 그런데 김치를 담고 난 뒤 남는 배추 겉잎, 무껍질, 양념 찌꺼기 등 ‘김장 쓰레기’는 그 양도 많고 처리도 까다롭습니다. 매년 이맘때가 되면 “이건 음식물 쓰레기인가요?”, “절인 배추는 어디에 버려요?”라는 질문이 자주 들립니다.
서울시는 이같은 혼란을 줄이기 위해 11월부터 12월까지 김장쓰레기 특별수거기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기간에는 음식물 쓰레기와 일반쓰레기의 구분이 평소보다 조금 유연하게 적용되지만, 자칫 잘못 배출하면 과태료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서울시 및 자치구에서 안내하는 내용을 기반으로 정확하고 깔끔한 배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김장쓰레기, 음식물일까? 일반쓰레기일까?
김장 쓰레기는 종류가 다양하고 상태에 따라 배출 방법이 달라집니다. 대표적인 항목들을 먼저 구분해보겠습니다.
| 쓰레기 종류 | 배출 방법 | 비고 |
| 절이지 않은 배추 겉잎 | 일반 종량제봉투 | 양념이 묻지 않은 상태 |
| 절인 배추, 양념 묻은 채소 |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봉투 | 김치류 포함 |
| 양파·마늘 껍질, 대파 뿌리 | 일반 종량제봉투 | 평소와 동일 |
| 배추 심, 무 껍질 | 일반 종량제봉투 (단, 양념 없어야 함) | |
| 양념만 남은 찌꺼기 |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봉투 |
서울시에서는 양념이 묻지 않은 김장 쓰레기는 일반 종량제봉투에 버릴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지만, 양념이 묻은 상태라면 반드시 음식물 쓰레기로 처리해야 합니다. 특히 절인 배추나 다진 마늘, 고춧가루가 섞인 양념은 예외 없이 음식물 쓰레기입니다.
자치구마다 다른 배출 규정, 확인은 필수
서울시 25개 자치구는 각 지역별로 김장쓰레기 배출 규정을 다르게 운영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보도자료에 따르면 종로, 용산, 광진, 강남 등 대부분 자치구는 일반 종량제봉투에 배출을 허용하지만, 일부 자치구는 기존처럼 음식물 쓰레기로만 배출해야 합니다.
음식물 쓰레기 배출 필수 자치구
- 서대문구
- 영등포구
- 서초구
- 송파구
일반쓰레기·음식물 쓰레기 모두 허용 자치구
- 강남구
따라서 거주지 혹은 김장을 담그는 장소의 자치구청 홈페이지에서 김장 쓰레기 안내문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잘못 배출할 경우 수거가 되지 않거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배출할 때 꼭 기억해야 할 3가지
서울시와 관악구청 등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김장 쓰레기 배출 시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정된 기간에 배출하기
김장쓰레기 특별수거기간은 대체로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입니다. 이 기간이 지나면 다시 음식물 쓰레기 규정이 적용되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2. 일반 종량제봉투 사용 시 ‘김장 쓰레기’ 표시하기
대부분 자치구는 김장 쓰레기를 일반 쓰레기로 배출할 경우, 겉면에 ‘김장쓰레기’라고 명시하거나 배출 스티커를 부착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스티커는 주민센터에서 무료로 배부하거나, 구청 홈페이지에서 출력할 수 있습니다.
3. 음식물 쓰레기와 혼합 배출 금지
김장 채소류를 일반쓰레기와 섞어서 배출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단속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최대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분리해서 배출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
Q. 절인 배추는 왜 일반쓰레기가 아닌가요?
절인 배추에는 수분과 염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위생상 문제로 인해 일반 쓰레기와 함께 처리할 수 없습니다. 또한, 이미 음식물화 과정이 일부 진행된 것으로 보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됩니다.
Q. 김장 양념만 남았어요. 이것도 음식물 쓰레기인가요?
고춧가루, 마늘, 생강 등으로 만든 김장 양념은 일반 쓰레기로 배출하면 악취가 발생하고, 처리 시설에도 부담을 줍니다. 반드시 음식물 쓰레기로 버려주세요.
Q. 작은 음식점도 일반 가정처럼 배출할 수 있나요?
소형 음식점은 가정과 동일하게 특별수거기간 동안 일반 종량제봉투로 김장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습니다. 단, 대형 음식점이나 다량배출사업장은 자체적으로 처리해야 하며 예외입니다.
환경을 생각하는 김장, 이렇게 준비하세요
올바른 쓰레기 배출은 단순히 과태료를 피하는 차원을 넘어, 자원 재활용과 환경 보호에도 직결됩니다. 예를 들어, 깨끗한 채소류는 사료나 퇴비로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양념이 섞인 쓰레기는 전혀 재활용이 되지 않습니다.
또한 김장을 하기 전부터 쓰레기 발생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아래는 환경부가 권장하는 김장 준비 시 친환경 실천 방법입니다.
| 실천항목 | 방법 |
| 김장 재료 구매 시 | 꼭 필요한 양만 구매하여 과잉 구매 방지 |
| 절임배추 사용 시 | 남는 절임 국물은 싱크대에 바로 버리지 않고 걸러서 배출 |
| 음식물 보관 | 김치를 적정량 담고, 남은 재료는 밀폐 보관 |
| 쓰레기 줄이기 캠페인 참여 | 지자체 또는 아파트 커뮤니티 행사 활용 |
김장철, 맛있는 김치도 중요하지만 끝난 후 남는 쓰레기를 어떻게 처리하느냐도 정말 중요합니다. 환경을 생각하는 시민이라면, 김장쓰레기 배출 방법 역시 꼼꼼하게 지켜야겠죠.
서울시와 각 자치구에서는 매년 김장철마다 쓰레기 처리에 대한 가이드를 안내하고 있으니, 김치를 담그기 전 꼭 거주지의 배출 규정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올해 김장은 더 깔끔하게, 더 친환경적으로 마무리해보세요.
참고 가능한 사이트 주소
- 서울특별시 공식 환경뉴스
https://news.seoul.go.kr/env/archives/555492 - 관악구청 김장쓰레기 배출 안내
https://www.gwanak.go.kr/site/enews/news/news_view.do?mvid=1363&aid=10278 - 서울시 각 자치구별 생활폐기물 안내 (종합포털)
https://www.seoul.go.kr - 환경부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가이드
https://www.me.go.kr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에드센스 납세자 거주지 세금정보 업데이트 - 홈텍스에서 바로 신청 (1) | 2025.11.04 |
|---|---|
| 온누리 상품권 사용법과 할인 구매 꿀팁, 전통시장을 현명하게 즐기는 법 (0) | 2025.09.26 |
| KTX 노선도와 예매 방법 총정리 - 처음 이용하는 분들을 위한 꿀팁! (0) | 2025.09.22 |
| 폴로 정품구별, 정품인증 하는 방법 (0) | 2025.09.20 |
| 2025 추석연휴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대중교통 연장, 주요 관광지 무료 개방 (1) | 2025.09.16 |
댓글